분류 전체보기196 마케팅 시장 세분화 변수 시장 세분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마케팅 관리자는 마케팅 조사를 비롯한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밀집된 선호성을 보이는 세분시장이 실제로 존재하는가 또는 현재 상태로는 존재하지 않으나 우리 기업의 마케팅 믹스를 이용하여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세분 시장이 확인되면 마케팅 관리자는 각 세분시장에 대한 평가를 하여 표적시장을 선정하며 그에 맞는 제품 포지셔닝을 결정하여 시장 세분화를 마치게 된다. 따라서 마케팅 관리자는 이러한 세분 시장을 나누는 기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세분화의 기준 변수들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심리학적 변수, 구매행동적 변수, 사용 상황 변수, 추구 효익 변수들이 있다. 1. 인구통계적 변수 세분시장 프로파일 작성 변수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 변수를 세분화의.. 2022. 1. 1. 마케팅의 효과적인 시장 세분화의 요건 마케팅에서의 시장 세분화라는 것이 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이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고, 전략 수립의 핵심 부분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장 세분화가 가능하다고 해서 무조건 세분화하는 것이 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아니다. 만약에 어느 기업이 신제품을 시장에 도입하여 제품의 시장을 새로이 창출한 경우에 마케팅 관리자가 그 시장에 몇 개의 세분시장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마케팅의 효율성을 위해 전체 시장을 동일시장으로 고려하는 전략을 수립하여 마케팅을 수행한 후 어느 정도 시장이 커지고 경쟁자가 참여할 가능성이 있을 때에 비로소 시장 세분화를 통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효과적인 시장 세분화가 이루어지기 위하여 각각의 세분시장은 측정 가능성, 규모, 접근 가능.. 2022. 1. 1.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본질 명령형 언어 프로그래밍 방식은 일련의 명령문을 나열하여 이들이 순차 실행 혹은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나.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함수를 결합하여 좀 더 강력한 함수를 만드는 것이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이론적 가치는 1930년대에 A.Church가 고안한 lambda calculus이며, 1970년대에는 Danaswtt와 Christopher Strachey의 표기적 의미론(denotational semantics)에 의하여 모든 프로그램은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고 한다. 함수 언어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Lisp이며, 이밖에 APL과 여러 가지 Lisp의 변종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함수 언어들은 명령형 언어의 효율성을 영향받아 명령적(비 적용적) 특성들을 일부 포함하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본래의 .. 2021. 12. 31. 부프로그램의 형식 매개 변수와 실매개 변수 부프로그램의 형식 매개 변수란 부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식 또는 다른 이름을 대신하여 그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이름을 의미하며, 대신 사용된 원래의 식 또는 이름을 실매개 변수라 부른다. 이 매개 변수는 프로시저의 정의에서 선언되어 일반적으로 지역 변수 역할을 한다. 아래 프로시저 P의 정의문들에서 A와 B가 형식 매개 변수이다. SUBROUTINE P(A, B) [Fotran] procedure P(A, B) [Algol] P : PROCEDURE(A, B) ; [PL/I] 위에서 선언된 부프로그램들을 실매개 변수 X와 Y*Z를 가지고 호출하는 문장들은 다음과 같다. CALL P(X, Y*Z) P(X, Y*Z) CALL P(X, Y*Z) 여기서 X는 부프로그램 P의 형식 매개 변수 A와 대응하는 실매.. 2021. 12. 26. 이전 1 ··· 46 47 48 49 다음